동양의 식탁사

동양의 식탁사


1) 동양의 식탁사

(1) 한국

① 신석기, 고조선(B.C 4000 ~ B.C 2000)

한반도에 인류가 본격적으로 살기 시작한 기원전 4000년부터 고조선 시대까지 한반도는 부족국가의 발달과 농경문화가 자리를 잡기 시작하였다. 농경문화의 큰 특징은 제천행사가 다양하게 발달하였고 그에 따른 제기와 잔치용 음식들이 발달하였다. 신석기 시대에 토기를 사용하였고 오늘날과 같은 숟가락을 사용한 흔적이 보인다.(낙랑고분출토)

② 삼국시대(B.C 82 ~ A.D 667)

고대국가의 틀이 잡아가던 이시기에 본격적인 농업경제와 불교가 식생활에 큰 영향을 주었고 절대왕권의 확립은 귀족사회를 발달시켰다. 주.부식의 분리가 이루어지면서 밥이라는 형태가 생겨났는데, 밥은 왼쪽에 국은 오른쪽에 놓았으며 다채로운 부식의 발달을 가져왔다. 고구려 벽화에 식사에는 소반을 사용하였고 한 사람씩 식사하는 외상 차림이었다.


③ 고려시대(12C ~ 14C)

고려시대에는 불교숭상 국가로 식생활은 채식위주의 식사를 하였고 차의 발달과 함께 과정류의 발달도 있었다. 식기는 유기, 칠기, 금기, 은기 등을 사용하였고 특히 청자가 귀족들에게 매우 사랑을 받았다. 이 시기의 불교음식은 조형적이며 화려하였고, 고배음식이 신이나 귀한 사람에 대한 존경으로 자리를 잡았다.


④ 조선시대(1392 ~ 1910)

유교가 정치이념으로 채택되었고 왕권 중심의 중앙집권적 제도와 양반제도가 확립되었다. 유교의 영향으로 의례가 중시되었고 관혼상제와 함께 술 문화가 발달하였다. 밥이 기본으로 차려진 반상의 형식으로 밥, 국, 김치, 반찬류로 이루어진 상차림이 정립되었다. 겨울엔 유기, 여름엔 자기를 사용하였고 온돌의 발달로 좌식문화가 발달 하였다.


⑤ 근대(1910 ~ 1945)

이 시기는 개화기 시대로 식생활은 다양해지고 외국의 식문화도 전해지는 시기이다. 궁중음식이 서민들에게도 알려지고 선교사들에 의해 각국의 다양한 음식과 요리법이 전해지고 도자기 공장들이 세워져서 도자기류의 대량생산이 이루어진다.


⑥ 현대(1945~)

전쟁이후 60,70년대 고도 성장을 하였고 현대의 한국요리는 전통요리 뿐만 아니라 퓨전요리라고 해서 국적 불분명의 요리들이 만들어 지고 있으며 교통의 발달로 글로벌한 음식도 발전하고 있다.


(2) 중국

중심부에 회전대가 있는 원형 테이블을 사용하고 음식의 양은 접시의 크기에 따라 대.중.소로 나누어 담는다. 식단의 종류는 가정의 일상식과 연회의 연석식단, 정식식단으로 나뉜다. 연석 요리는 전채, 두채, 주채, 탕채, 면점, 첨채, 과일로 구성한다.

전통적인 중국식기는 색상과 문양이 화려하고 원색적이어서 특별한 장식 없이 그 자체만으로 화려한 느낌이 든다.


(3) 일본

일본요리는 ‘눈으로 먹는 요리’라 일컬어질 정도로 식품의 조합에 있어서 색상과 형태, 질감의 조화를 중시한다. 음식을 담는 법에 있어서는 상대방을 높게, 자신을 낮게 하는 산수의 법칙 등 자연을 거슬리지 않는 방법을 사용한다. 

일본의 상은 한국보다 높이가 낮으며 음식의 조리법에 따라 그릇의 형태가 달라지며 한 상에 놓이는 그릇은 형태와  색, 재질이 각양각색으로  매우 아름답고 예술적이며 대부분의 식사에 젓가락만을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4) 태국, 베트남

쌀을 주식으로 한상에 차려내는 형식을 취한다.

중국, 인도, 포르투칼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음식문화를 발달시켰다. 인도의 영향으로 커리 같은 향신료를 사용하고 포르투칼에 의해 칠리 재료를 사용한다. 베트남은 중국의 영향으로 볶거나 튀긴 요리가 많고 태국의 강한 음식이 많은 것에 비해 순하고 산뜻한 음식이 많다.

 

(5) 인도

인도는 종교의 영향을 많이 받아 채식주의가 많으며 콩과 곡물을 이용한 음식이 많다. 육류는 닭고기와 양고기를 주로 먹고 대부분의 음식에 향신료를 많이 사용하고 1인분씩 금속에 담아서 먹는 ‘탈리’라고 하는 쟁반식기에 음식을 담아 먹는다.


Tel. 031-639-4526| Fax. 031-639-5929 | food@ck.ac.kr

주소 : 17390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청강가창로 389-94(해월리) 문화사랑관 1층

본 사이트에 이용된 모든 콘텐츠(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의 저작권은 청강문화산업대학교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