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블코디네이션의 기본 요소
1) 테이블코디네이션의 기본 요소
식사 공간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는 사람과 시간, 장소, 목적에 따라 식공간의 구성을 다르게 연출할 수 있다.
식사 공간은 기본적으로 쾌적한 식사를 위한 배려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식사공간에서 위생과 음식의 맛 뿐만아니라 식사공간의 아름다움 등은 창의적으로 표현되어야 하며 인간 감성의 오감을 만족시켜야 한다. 오감은 시각, 후각, 청각, 미각, 촉각을 의미하며 그중 시각적 아름다움을 중요시 해야 한다.
(1) 사람과 T.P.O
① 사람
식사 공간은 사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식활동으로 시간, 공간, 목적이라는 개념에서 행하여진다. 이 중에서 사람은 식사공간에서 식사를 위한 대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식사공간에서 사람들의 연령대, 성별 기호 등에 따라 식사공간의 구성이 다르게 연출되어 성별에 따라 선호하는 스타일과 컬러가 달라지며, 연령에 따라 젊은 사람들의 경우 발고 캐주얼하고 자유스러운 분위기를 좋아하는 반면, 연령대가 있는 경우 차분하고 편안하고 안정된 분위기를 선호하는 경우가 있다.
② 시간(Time)
언제 이루어지는 모임이냐에 따라 식사공간이 다르게 연출되는데 아침은 간단하고 정갈하게, 점심은 편안하고 명랑한 분위기로, 저녁은 격식 있는 상차림이 이루어진다.
계절별로는 봄, 여름, 가을, 겨울에 따라 식공간의 컬러와 분위기에 따른 소품과 소재가 달라지며 시간적으로 하루 중 아침, 점심, 저녁 중 언제 모임이 이루어지냐에 따라 식공간의 성격이 달라진다. 아침식사의 경우 간단한 음식과 부드러운 이미지의 컬러를 사용하여 연출하고 점심식사의 경우 가벼운 분위기로 식사 준비와 공간연출을 하고 저녁식사의 경우 음식이 중심이 되는 격식 있는 모임의 상차림으로 연출하는 것이 좋다.
③ 장소(Place)
식사가 이루어지는 장소가 식당이나, 리빙룸 혹은 실내와 야외에 따라 식탁의 형태와 크기, 높이, 분위기 등이 달라진다.
야외식사 모임인 경우 주방 여건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아 음식이 너무 뜨겁거나 차갑게 준비하는 음식 보다 핑거푸드나 바베큐 등의 음식으로 준비하는 것이 좋다.
④ 목적(Occasion)
식사의 모임 목적에 따라 식사의 분위기나 테이블세팅이 달라진다. 식사공간의 목적은 누구를 위한 식사공간인지, 어떤 성격의 모임인지에 따라 식사공간의 구성과 테이블세팅의 이미지 식사 종류가 달라진다.
(2) 6W,1H의 요건
①Who: 누가 먹을 것인가
②Whom: 누구와 먹을 것인가
③When: 언제 먹을 것인가
④Where: 어디서 먹을 것인가
⑤What: 무엇을 먹을 것인가
⑥Why: 무엇을 위하여 먹는가
⑦How: 어떻게 먹을 것인가
2) 공간 디자인의 구성 요소
(1) 바닥
바닥은 출입구를 통해 실내로 들어갈 때 가장 먼저 촉감으로 접하는 공간이고 천장과 함께 공간을 구성하는 수평적 요소로서 생활을 지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또한 바닥은 사람과 물건을 지지하며, 신체와 직접 접촉하기에 촉각적으로 만족할 수 있는 조건이 구비되어야 한다. 바닥의 재료의 재질은 타일과 석고는 차고 강한 느낌이 들고, 목재는 부드럽고 아늑한 느낌이 들게 하지만 방음에 약하여 바닥에 카펫이나 러그를 깔아서 보완한다.

(2) 벽
벽은 실내에서 시선이 가장 먼저 닿는 곳으로 공간을 에워싸는 수직적 요소로 수평방향을 차단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과 외부세계에 대한 침입을 막는 방어기능을 갖는다. 벽은 실내공간 요소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므로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실내 또는 실외에 접하므로 내벽과 외벽으로 구분된다. 벽의 소재로는 벽지, 페인트, 석재, 목재 등의 재질과 가격, 색상 및 패턴이 다양하고 실내 전체의 조화를 고려하여 선택한다. 식사 시에 사람들의 시선이 벽에 향할 때가 많으므로 선택 시 주의한다.

(3) 천장
천장은 바닥과 함께 공간의 부피감을 결정하고 실내 환경에 있어서 가장 동적인 디자인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부분이며, 천장의 형태는 재료의 질감과 함께 실내공간의 음향에 영향을 미친다. 높은 천장은 웅장함을 주며 낮은 천장은 아늑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연출하지만 답답한 느낌을 줄 수 있다.

(4) 창문
창문은 채광, 환기, 조명의 역할을 하고 실내의 성격이나 디자인의 형태와 크기, 수를 결정하게 한다. 창문이 크고 많으면 실내공간의 개방감이나 확대감을 주어 시원스런 느낌을 갖게 하지만 창문이 작고 수가 적으면 밀폐감과 안정함을 준다.

(5) 문
문의 방향에 따라 공간 활용이 달라지고 출입문은 외부와 내부를 구분 지어 주는 역할을 하며 출입의 중앙에 위치하여 한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의 이동을 연결시켜 준다.

(6) 커튼과 블라인드
커튼과 블라인드는 단열작용, 소음흡수, 방음효과, 실내분위기 연출에 좋은 효과를 주고 식사공간 전체 이미지에 많은 역할을 한다. 또한 공간 내에서 공간의 구분을 주는 역할도 한다.

테이블코디네이션의 기본 요소
1) 테이블코디네이션의 기본 요소
식사 공간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는 사람과 시간, 장소, 목적에 따라 식공간의 구성을 다르게 연출할 수 있다.
식사 공간은 기본적으로 쾌적한 식사를 위한 배려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식사공간에서 위생과 음식의 맛 뿐만아니라 식사공간의 아름다움 등은 창의적으로 표현되어야 하며 인간 감성의 오감을 만족시켜야 한다. 오감은 시각, 후각, 청각, 미각, 촉각을 의미하며 그중 시각적 아름다움을 중요시 해야 한다.
(1) 사람과 T.P.O
① 사람
식사 공간은 사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식활동으로 시간, 공간, 목적이라는 개념에서 행하여진다. 이 중에서 사람은 식사공간에서 식사를 위한 대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식사공간에서 사람들의 연령대, 성별 기호 등에 따라 식사공간의 구성이 다르게 연출되어 성별에 따라 선호하는 스타일과 컬러가 달라지며, 연령에 따라 젊은 사람들의 경우 발고 캐주얼하고 자유스러운 분위기를 좋아하는 반면, 연령대가 있는 경우 차분하고 편안하고 안정된 분위기를 선호하는 경우가 있다.
② 시간(Time)
언제 이루어지는 모임이냐에 따라 식사공간이 다르게 연출되는데 아침은 간단하고 정갈하게, 점심은 편안하고 명랑한 분위기로, 저녁은 격식 있는 상차림이 이루어진다.
계절별로는 봄, 여름, 가을, 겨울에 따라 식공간의 컬러와 분위기에 따른 소품과 소재가 달라지며 시간적으로 하루 중 아침, 점심, 저녁 중 언제 모임이 이루어지냐에 따라 식공간의 성격이 달라진다. 아침식사의 경우 간단한 음식과 부드러운 이미지의 컬러를 사용하여 연출하고 점심식사의 경우 가벼운 분위기로 식사 준비와 공간연출을 하고 저녁식사의 경우 음식이 중심이 되는 격식 있는 모임의 상차림으로 연출하는 것이 좋다.
③ 장소(Place)
식사가 이루어지는 장소가 식당이나, 리빙룸 혹은 실내와 야외에 따라 식탁의 형태와 크기, 높이, 분위기 등이 달라진다.
야외식사 모임인 경우 주방 여건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아 음식이 너무 뜨겁거나 차갑게 준비하는 음식 보다 핑거푸드나 바베큐 등의 음식으로 준비하는 것이 좋다.
④ 목적(Occasion)
식사의 모임 목적에 따라 식사의 분위기나 테이블세팅이 달라진다. 식사공간의 목적은 누구를 위한 식사공간인지, 어떤 성격의 모임인지에 따라 식사공간의 구성과 테이블세팅의 이미지 식사 종류가 달라진다.
(2) 6W,1H의 요건
①Who: 누가 먹을 것인가
②Whom: 누구와 먹을 것인가
③When: 언제 먹을 것인가
④Where: 어디서 먹을 것인가
⑤What: 무엇을 먹을 것인가
⑥Why: 무엇을 위하여 먹는가
⑦How: 어떻게 먹을 것인가
2) 공간 디자인의 구성 요소
(1) 바닥
바닥은 출입구를 통해 실내로 들어갈 때 가장 먼저 촉감으로 접하는 공간이고 천장과 함께 공간을 구성하는 수평적 요소로서 생활을 지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또한 바닥은 사람과 물건을 지지하며, 신체와 직접 접촉하기에 촉각적으로 만족할 수 있는 조건이 구비되어야 한다. 바닥의 재료의 재질은 타일과 석고는 차고 강한 느낌이 들고, 목재는 부드럽고 아늑한 느낌이 들게 하지만 방음에 약하여 바닥에 카펫이나 러그를 깔아서 보완한다.
(2) 벽
벽은 실내에서 시선이 가장 먼저 닿는 곳으로 공간을 에워싸는 수직적 요소로 수평방향을 차단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과 외부세계에 대한 침입을 막는 방어기능을 갖는다. 벽은 실내공간 요소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므로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실내 또는 실외에 접하므로 내벽과 외벽으로 구분된다. 벽의 소재로는 벽지, 페인트, 석재, 목재 등의 재질과 가격, 색상 및 패턴이 다양하고 실내 전체의 조화를 고려하여 선택한다. 식사 시에 사람들의 시선이 벽에 향할 때가 많으므로 선택 시 주의한다.
(3) 천장
천장은 바닥과 함께 공간의 부피감을 결정하고 실내 환경에 있어서 가장 동적인 디자인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부분이며, 천장의 형태는 재료의 질감과 함께 실내공간의 음향에 영향을 미친다. 높은 천장은 웅장함을 주며 낮은 천장은 아늑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연출하지만 답답한 느낌을 줄 수 있다.
(4) 창문
창문은 채광, 환기, 조명의 역할을 하고 실내의 성격이나 디자인의 형태와 크기, 수를 결정하게 한다. 창문이 크고 많으면 실내공간의 개방감이나 확대감을 주어 시원스런 느낌을 갖게 하지만 창문이 작고 수가 적으면 밀폐감과 안정함을 준다.
(5) 문
문의 방향에 따라 공간 활용이 달라지고 출입문은 외부와 내부를 구분 지어 주는 역할을 하며 출입의 중앙에 위치하여 한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의 이동을 연결시켜 준다.
(6) 커튼과 블라인드
커튼과 블라인드는 단열작용, 소음흡수, 방음효과, 실내분위기 연출에 좋은 효과를 주고 식사공간 전체 이미지에 많은 역할을 한다. 또한 공간 내에서 공간의 구분을 주는 역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