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hn Herschel

(John Frederick William Herschel)

1792~1871, 영국

---



존 허셜은 영국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이다. 천황성을 발견한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의 아들이다.


버크셔주 교외 슬로우에서 태어났다. 짧게 이튼 칼리지와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 존스 칼리지에서 공부를 했고, 

1813년 시니어 랭글러(최고상)로 졸업했다. 

1834년부터 4년간 남아프리카의 케이프타운에서 북반구에서는 관측할 수 없는 

남쪽의 천체 관측 기록을 남기고 1838년 귀국하였다.


1등성의 밝기는 6등성의 100 배라는 것을 발견하여 발표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1836년 베텔게우스가 변광성임을 최초로 발견했다.


1849년 저서 《천문학 개요》(Outlines of Astronomy)에서 

날짜와 시간을 계산하는 율리우스일을 이용하는 방법을 고안하여, 

이것이 퍼져 전 세계 천문학자가 일수 계산에 율리우스일을 이용하게 되었다.


저서로는 《자연 철학 연구에 관한 예비 고찰》, 

《1834-38년 사이에 희망봉에서 한 천문학적 관측 결과》, 《천문학 개요》 등이 있다.


토성의 위성(미마스, 엔케라두스, 테티스, 디오네, 레아, 타이탄, 이아페투스), 

천왕성의 위성(아리엘, 운부리에루, 티타니아, 오베론)의 대부로 알려져 있다.


---


cyanotype



허셜이 사진사에 기여한 중대한 업적은 하이포가 염화은을 녹일 수 있다는 정착법을 발견하였으며, 

오늘날까지 하이포가 정착제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필름과 인화지 감광유재인 할로겐화은을 노광시켜 잠상을 만들다 

다시 빛에 노광을 주면 잠상이 파괴되어 현상을 하더라도 상이 나타나지 않은 허셜 효과(Solarization)의 발견과 

농도가 부족한 네가를 승홍에 넣어 표백 후 암모니아 아황산나트륨으로 흑화현상이 되는 수은 증감법을 발명했다.


1842년 청사진프로세스(cyanotype)의 완성 등으로 명성을 떨쳤을 뿐만 아니라 

그가 사용하였던 사진용어인 '포토그래프', '포토그래피', '네가포지법' 등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어 사진사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Tel. 031-639-4526| Fax. 031-639-5929 | food@ck.ac.kr

주소 : 17390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청강가창로 389-94(해월리) 문화사랑관 1층

본 사이트에 이용된 모든 콘텐츠(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의 저작권은 청강문화산업대학교에 있습니다.